부동산 초보를 위한 사이트 추천
최근 연일 무섭게 집 값이 하락하면서 매수 심리가 상당히 줄어들었는데요. 아무래도 미국발 인플레이션으로 금리 인상을 수 차례 단행한 것이 수요에 대한 위축 심리를 가속화시킨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래도 이렇게 집 값이 꺾이고 있는 이 시점이 오히려 전세 사시는 분들, 오랜 기간 내 집 마련을 꿈 꿔왔던 분들에게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어디가 정확히 바닥인지는 모르겠지만 입지와 향후 가치만 고려한다면 인플레이션에 의한 장기적 우상향은 어쩔수 없는 흐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집마련이나 투자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정말 유용한 사이트를 5개 추천해드리고자 합니다.
네이버 부동산, 호갱 노노
부동산 하면 대표적인 플랫폼이 네이버 부동산과 호갱 노노죠. 공인중개사 매물, 실거래를 확인할 때 네이버 부동산 만한 게 없습니다. 지역별 매물 검색이나 재건축 재개발을 위한 단독 주택 가격을 볼 때도 네이버 부동산을 활용하시면 매우 좋습니다. 그리고 가장 빠르고 정확한 시세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주택을 구매하실 때는 무조건 네이버 부동산을 이용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호갱 노노인데요. 호갱 노노는 개인적으로 어플이 직관적으로 잘 나와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갭 가격, 전세가율,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단지는 어디인지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플랫폼인데요. 호갱 노노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래도 개발호재 및 규제지역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입니다. 개발호재의 경우에는 호갱 노노에 가입해서 설정을 변경해야만 볼 수 있으니 보는 방법이 궁금하시면 개인적으로 댓글을 남겨주세요!
아파트 실거래가 '아실' : 학군, 인구 변화, 가격 비교에 특화되어 있는 플랫폼
아파트 실거래가라는 플랫폼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상당히 인기가 있는 플랫폼인데요. 부동산 상승에 주요 인자라고 볼 수 있는 학군과 인구 변화를 매우 정밀하고 직관적으로 잘 표현한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제가 가장 애용하는 기능은 학군과 가격비교입니다.
학군의 경우, 중/고등학교의 학업 성취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내 주고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도 학군에 가장 영향을 받는 아파트가 어딘지 쉽게 알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또한 두 개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실거래가 지표를 역사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실'의 매우 큰 매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지인 : 지방 투자자를 위한 가장 좋은 플랫폼
지방 투자자들이 임장 전 가장 먼저 보는 게 뭔지 아시나요? 바로 향후 입주 물량과 인허가 물량인데요. 이 두 가지 팩터는 미래에 내가 살 집에 대한 희소가치를 뜻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을 가장 잘하고 쉽게 나타낸 플랫폼이 부동산 지인입니다. 지역 분석, 아파트 분석, 빅데이터 지도를 이용할 땐 항상 부동산 지인의 사용을 추천합니다!
다원 중개 : 재건축, 재개발 사업성 공부를 위한 필수 플랫폼
사실 재건축, 재개발은 초기 투자자에게 너무나도 어려운 장벽과도 같은데요. 사업장이 언제 완공될지도 모르고 이 아파트가 사업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일조차 너무나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원 중개라는 어플이 생기고 나서 정보의 비대칭성이 아주 많이 해소되었는데요. 최근 들어 1기 신도시 재건축이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다원 중개가 앞으로는 더 각광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원 중개의 가장 큰 장점은 재건축 사업성 기능입니다. 사업성 점수, 현재 용적률, 세대당 평균면적까지 계산되어 종합적으로 재건축 사업성을 평가하는데요. 꽤나 신뢰도가 높은 편이라 부동산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력이 있습니다.
'be rich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자이더샵 포레나 계약해도 될까? (0) | 2023.05.09 |
---|---|
고양은평선, 창릉 3기 신도시에 지하철 생긴다! (0) | 2022.06.08 |
1기 신도시 특별법, 1기 신도시 재건축은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까? (0) | 2022.06.05 |
신림선 노선도, 개통 일정과 배차 간격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5.24 |
역세권 청년주택, 금수저는 안된다! 소득 기준과 자격 대상은? (0) | 2022.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