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를 바라보며 (검단신도시 AA13-1BL)

by Be rich 2023. 5. 10.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지난 4월 29일 검단신도시 AA13-1BL(안단테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이 붕괴되었는데요. 이 아파트의 시공사는 LH로부터 시공 수주를 받 GS 건설이며 올 12월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만. 지하주차장이 붕괴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붕괴사고인 만큼 입주를 앞두고 있는 주민들의 불안은 상당히 커질 것이 당연해 보입니다.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검단신도시 AA13-1BL 위치
검단신도시 안단테 (AA13-1BL)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원인

시공사인 GS 건설은 초음파 검사 이후, 설계와 다르게 철근을 30개 정도 빼먹고 시공이 되었다고 밝혔는데요. 심지어 하중이 크게 받지 않는 위치의 지하주차장에서 붕괴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물론 GS 건설은 당연히 사과를 하긴 했지만 국토부가 이 사건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는 만큼 쉽게 넘어갈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사실 GS 건설은 관례대로 또 다른 하청업체를 두고 아파트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요. 그렇다 하더라도 철근 누락으로 인한 붕괴사고는 경중이 너무나 높기 때문에 GS 건설의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한편으로는 지난 현대산업개발의 광주 사고와 그 크기나 파장성 자체는 크진 않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 사건은 상당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과연 저 단지의 한 군데만 철근을 누락했을까요? 과연 저 단지만 철근을 누락했을까요?

 

저는 분명 아니라고 봅니다. LH > GS > 하청 업체 > 하청 업체..... 수많은 도급계약이 연결되어 있는 건설 업계 특성상 맨 밑의 하청 업체는 부족한 자재비를 감당하기 위해 철근을 누락하거나 질 나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게 GS 건설만 그렇게 시공을 하고 있을까요? 절대 아닐 겁니다. 1군 건설사라 불린 GS 건설에서 이러한 사건이 터졌다면 상대적으로 사업비가 적은 2군 3군 건설사는 더욱 심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제발 철저하게 조사하길

이번 붕괴사고로 불안감과 재산상의 손해를 본 사람들은 분양자들일 것입니다. 입주를 하자니 붕괴될까 두렵고 팔자니 붕괴아파트 낙인이 찍힌 상태에서 제 값을 받고 팔기도 어려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들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방법은 오직 국토부, 시공사, 시행사, 민간 기관의 단지 전체 조사 밖에 없을 것입니다. 입주날짜를 미루더라도, 만약 검증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재건축이라는 철퇴를 내리치더라도 안전하게 관리되는 게 당연한 수순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람 80%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 시공 방식과 도급 체계를 전체적으로 손 볼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만약 이게 어렵다면 준공승인 절차를 좀 더 까다롭고 분석적으로 만들어 부실 아파트는 절대 국민들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